식품산업화는 인류를 기아로부터 해방시키고, 균형잡힌 영양공급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했지만, 부작용으로 ‘식품손실 및 폐기’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식품산업화 부작용은 국제적인 사회, 환경, 경제 문제로 부각됐으며, 국제협력기구와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중입니다.
전세계 먹거리(원물/식품) 생산량 중 약 30%가 버려지고 있습니다. 세계인구는 2050년까지 약 90억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먹거리 생산량을 70% 늘려야합니다. 사회단체와 기업들은 각각 힘을 합쳐, 먹을 수 있지만 버려지는 식품을 활용할 방법을 강구하는 중입니다. 각국정부는 법을 개정해 버려지는 음식을 줄이고 있습니다.
버려지는 식품은 경제적인 손실로 끝나지 않고, 처리과정에서 많은 양의 메탄가스를 유발하고 지하수를 오염시킵니다.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서는 식품이 버려지기 전에 건져올려 자원순환 시스템에 넣는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식품손실 및 폐기 유형
-식품손실
[주요 국가별 식품가치사슬 내 손실, 폐기현황]
식품손실은 생산 단계에서 수확시기를 놓치거나, 수확과정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다뤄지지 않거나, 저장시설이 미비해 저장/수송/유통 단계에서 식품이 상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위생적인 저장고/컨테이너가 마땅히 없거나, 이동수단의 냉장/냉동시설 미비로 생긴 손실이 이에 해당합니다. 대개 상대적으로 도로와 냉장설비 차량, 위생 규제가 덜 갖춰져 있는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일어나며, 한국과 같은 식품산업에서 선두를 달리는 국가 내 식품 문제는 손실보다 폐기에 중점을 둡니다. 식품손실을 줄이려면 수확시기를 적절히 계획하고 농작물의 효율적인 처리 과정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물류 인프라를 확충하고 식품 위생관리를 강화하며, 이동/저장을 위한 냉장설비 사용을 확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식품폐기
식품폐기는 제조, 유통, 소비 단계에서 일어나며, 유통기한 같은 식품제도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시장거래가 어려워지거나 소비자 인식과 달라 폐기처분되는 것으로 주로 선진국에서 발생합니다.
식품 제조과정 중 표준에서 이탈된 식품은 못난이 농산물처럼 식품 기능은 문제없지만 상품으로서 가치는 잃어버립니다. 유통기한이 임박했거나, 제품의 표준제조 기준(중량, 표기사항, 인쇄오류)를 벗어나는 경우가 모두 여기에 해당합니다.
통상적으로 식품 제조업체에서는 자사의 품질안정성 확보 및 리스크 관리의 목적, 유통업체는 재고부담을 줄이고 장기의 판매가능기한을 확보하기 위해, 유통기한을 소비기한보다 짧게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결국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버리는 현상’을 야기합니다.
정보제공 대상자가 서로 다른 표기사항(맛/안전/유통)을 혼재해 사용하고 있어 발생합니다. 소비자들은 ‘상품’으로 판매가 허용/권장되는 기한인 유통기한, 맛/향이 최상으로 유지되는 최상품질 보존기간, 그리고 안전 섭취가 가능한 소비기한을 혼동하면서, 사용가치가 남은 다양한 유형의 식품가치를 버리고 있습니다.
•식품손실 및 폐기 현황과 사회적 손실
–식품 표기사항 문제
[국가별 식품기한 표기사항 제도 현황]소비기한 | 유통기한 | 제조일자 | |
CODEX | X | O | O |
대한민국 | O | X | O |
EU | O | X | X |
미국 | O | O | X |
일본 | O | X | X |
영국 | O | X | X |
중국 | O | X | O |
CODEX(국제 식품규격위원회)에서는 제조일자, 포장일자, 유통기한, 품질유지기한, 소비기한으로 이뤄진 일자 식품 표기사항 중에서 2018년부터 유통기한을 제외했으며, 유통기한보다 길지만 역시 소비자들이 소비(가능)기한과 혼동해 식품폐기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최상품질 유지기한을 제외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영국과 일본에서도 유통기한은 삭제했습니다. EC(European Commission, 유럽연합위원회)에서는 유통기한 논의를 넘어, 최상품질 유지기한과 소비기한이 헷갈리지 않게끔 소비자 교육자료를 제작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유통 인프라가 미비했던 70년대에 제정한 유통기한 제도를 위생적인 유통체계(저장, 운송, 포장)가 갖추어진 지금까지 적용하고 있습니다.
–잉여식품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
한국 정부는 2006년 9월에 ‘식품기부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도입해, 푸드뱅크 사업단이 버려지는 식품을 나눠주는 복지제도로 바꿀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제조유통기업은 잉여식품을 기부하거나 시식, 행사지원, 직원할인판매해 폐기량을 줄이고 있지만, 여전히 사회 인식은 부정적이고 잉여식품을 먹는 수혜자 만족도는 낮습니다. 잉여식품은 ‘재고처분’이라는 인식과 정상이 아닐 수 있다는 의심 때문입니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에 대한 대중 인식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식품폐기에 따른 사회적 손실
식품폐기는 처리과정에서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비용을 야기합니다. 처리비용은 국내에서만 연간 8천억원에 달하고,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비롯한 온실기체를 다량 배출합니다. 뿐만 아니라 다이옥신과 같은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원인이며, 정화하느라 깨끗한 물을 쓰고 오염된 물을 배출합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식품폐기물은 20%만 줄여도 국내 처리비용 1,600억원을 절감하고, 소나무 3억 6천만톤을 심는 수준과 같은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국제사회 동향
UN산하 국제협력기구 국제농업기구(FAO), 세계식량프로그램(WFP)은 식품산업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UNSDGs를 연계했습니다. ‘버려지는 음식 줄이고 배고픔도 줄이기(Zero Waste Zero Hunger)’ 캠페인을 통해 글로벌 시민으로서 자발적인 실천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선진국 정부는 법률 개선과 민관공동 협의체 구성으로 ①현황을 파악하고, 감축 목표 세우기 ②폐기 금지 및 기부 촉진하는 법률 도입, 소비기한제 도입 ③식품유통구조 개선해 활용처 발굴하고, 소비자 인식바꾸기 캠페인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선진국 법, 제도 동향
국가 | 주요 내용 |
EU |
· EU차원 FUSION 프로그램 : EU차원 식품폐기관리를 위한 통계자료 구축, 구체적 감축목표 수립, 주체별, 단계별 활동 지원 (2012년~2016년) ※FUSION: Food Use Innovation by Otimizing Waste Prevention |
프랑스 |
· 식품폐기 금지법 제정 : 섭취가능 식품은 기부, 사료, 비료로 활용 가능한 농장전달, 슈퍼마켓은 자선단체와 식품기부를 위한 계약 필수 (2016년) |
이탈리아 |
· 유통기한 경과 상품기부 합법화 : 식품기부 규제완화, 유통기한 경과 후에도 규제완화 및 기부자의 책임을 면해주고 있음 (2016년) |
영국 |
· 정부 주도 WRAP(Waste & Resource Action Program) 진행 중(2017년) : 순환경제 식품폐기 최소화 프로그램 (‘Love Food, Hate Waste’ 캠페인) |
일본 |
· ‘식품폐기 삭감추진에 관한 법률’ 도입으로 국가, 지자체, 기업, 소비자의 역할 정립 및 지원 (2019년) · 농림수산성은 기업, 지자체, NPO 음식물폐기 분야 실천사례 인증제도 운영 |
–한국: 법,제도 개선 중
한국 정부는 2006년 9월에 ‘식품기부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도입한 뒤 2018년에는 자원순환기본법을 시행하고, 폐기물 처분부담금 제도를 도입해 순환경제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소비기한 표기제 도입이 담긴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은 2023년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선도 기업의 대응 활동
식품 제조 및 유통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지고, 지속가능 비즈니스 기회를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식품폐기 현상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선진기업은 산업 가치사슬에 기술과 인프라를 투자하거나, 잉여식품 공급처와 소비자를 IT기술 플랫폼으로 연계해 사회문제를 해결합니다. 해당 분야를 새 비즈니스 기회로 보는 혁신기업과 협력을 진행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글로벌 선진기업 대응 사례
기업명 | 주요 내용 |
네슬레 | · 개발도상국 내 기반 시설 제공을 통한 식품손실 저감: 소규모 낙농업자에 저장, 배송설비를 지원해 최적의 콜드체인 구축.· 브라질, 칠레,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 30개국 이상의 콜드체인 구축해 생산, 배송간 손실되는 우유 손실율을 0.6%미만으로 감소 |
테스코 | · IT를 활용해 유통기한 경과 제품의 기부 프로세스 효율화: ‘푸드 클라우드(Foodcloud) 앱’을 활용해 기부자와 수혜자 매칭· 기부물품 발생시 인근 단체에 알림, 30분내 미회신시 대체기관으로 연결 (고객참여를 유도해 고객 기부량의 20% 추가 기부) |
이케아 | · 고객 대상 캠페인: 매장내 식당에서 음식폐기물을 절반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퇴식구에서 음식물 종류와 무게를 기록하는 디지털 측정기 설치 및 폐기량에 따른 환경 영향을 시뮬레이션 |
까르푸 |
· 식품폐기물 저감을 위한 기업 합의 (유통기한 임박제품 할인판매, 기부 캠페인을 통한 폐기 방지) |
수확 과정에서 일부 훼손된 상품으로 가치인정이 어렵거나, 최근 COVID-19 사태로 급식, 외식업계의 수요가 감소해, 전국적으로 농산물과 식자재가 버려지고 있습니다. 농산물과 식자재 가치를 살리기 위해 다양한 기업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특히 국내 식품산업 내 유통 관행에 따라 유통기한이 30%를 넘기게 되면, 유통업체는 체류식품으로 분류하고 재고부담으로 매입하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장거래가 어렵지만, 사용가치가 남아 있는 식품의 가치가 낮아집니다.
그리고 식품 제조과정에서 중량, 날인, 표기사항이 정해둔 표준에서 이탈하는 경우, 표기사항과 불일치해 정상 유통판매가 불가능합니다. 기업은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폐기식품 가치를 활용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기업 사례
기업명 | 주요 내용 |
이마트 |
· 못난이 농산물 살리기 캠페인 (2020년) : 식품분야 셀러브리티(백종원) 활용해 최대 유통기업의 판매망 활용 (못난이 감자, 양파, 다시마 등) |
라스트오더 |
· ‘맛있는 한 끼 식사로 지구를 지키세요’ 우리동네 마감 할인 모바일 플랫폼 : 외식업, 편의점에서 발생하는 기한임박식품 할인 구매수요자 연계 |
롯데그룹 |
· 자원 선순환 프로젝트(必환경! 작은 실천으로부터, 2020년) : ‘25년까지 그룹V/C 식품폐기량 30% 감축 목표 : 식품/외식 계열사 기부 활성화 |
CJ그룹 |
· CJ제일제당 표준이탈, 기한임박식품 재판매, 기부 프로그램 :임박 식품 재판매(사내판매, 라스트오더), 기부 프로그램(푸드뱅크, 굿윌스토어) :표준이탈 식품 임직원식당 식자재 활용, 기부 프로그램 기획(‘20년) · CJ제일제당 ‘식품손실 폐기’ 인식제고 슬기로운 食생활 캠페인 진행(‘20년) : Zero Waste Zero Hunger 주제(CJ제일제당, UN-WFP, 굿윌스토어) · CJ제일제당 х 서울시 착한 먹거리 청년센터 먹거리 지원 프로그램(‘21년) : 중량이 다소 다른 즉석밥과 못난이 농산물 활용 청년 식품구독 서비스 · CJ프레시웨이: Zero Waste Zero Hunger 캠페인 · CJENM: 식벤져스 프로그램 (올리브 TV) |
식품폐기에 대한 이슈는 소비자들의 ‘윤리적, 합리적 소비운동 차원과 기업의 지속가능성 과제와 연계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폐기 비용부담을 줄이고 환경/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 관점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집중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개인의 일상에서부터 실천을 고민해보면 어떨까요?
식품영업 전문가
現) 탤런트뱅크 전문가, CJ제일제당 Sustainability 팀 부장
시대가 변하고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서 예전엔 골칫거리였던 문제가 쉽게 풀리기도 하죠. ‘신기술 트렌드’는 실무를 뛰는 엄선된 전문가들이 직접 쓴 현장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기업 문제를 손쉽게 고치는 전문가들의 인사이트를 둘러보세요.